김미숙의 브랜드 in스토리

여성CEO 비즈니스 아카데미 ‘AI 시대 살아남기 위한 필수 역량’ 강의 참가 후기

인공지능과 동료로 협업하기 위한 리더의 능력, 증강능력, 태도, 인사이트를 배운 이중학교수의 특강 요약

📖 ‘여성CEO,AI시대 살아남기 위한 필수 역량’ 특강

이중학 강사(인사관리 전문가, AI전문가, 국제경영학박사, 가천대 교수)

1️⃣ AI는 ‘도구’가 아니라 ‘동료’

  • 글로벌 기업(MS, 구글, 모더나 등)은 AI를 업무 도구가 아니라 **협업자(Colleague)**로 바라봄
  • HR + IT 부서 통합 → 하이브리드 리소스 관리 필요
  • AI와 함께 일하는 방식 자체를 워크플로우 기반으로 재설계해야 함

💡 Key Insight: 이제 경영자는 인간 + AI 모두를 관리하는 리더가 되어야 한다.

2️⃣ 직업(Job)에서 과업(Task)으로

  • AI는 직업 전체가 아니라 세부 과업 단위를 빠르게 대체
  • 가장 영향이 큰 영역: 지식 기반 전문직 (교수, 의사, 변호사, 회계사 등)
  • 반대로, 사람을 직접 만나는 일(상담·교육·판매)은 수요 증가

💡 Key Insight: 내 직무가 아니라 내 과업을 정의하라.

3️⃣ 인지 능력의 가격 하락 → 증강 능력

  • GPT-5 IQ ≈ 150 (맨사급) → 인지의 희소성은 이미 붕괴
  • 성과 차이를 만드는 것은 “AI와 협업해 성과를 증폭시키는 능력”
  • 이를 **증강 능력(Augmented Ability)**이라 부름

💡 Key Insight: AI와 협업할수록 더 성장하는 사람 = 미래형 인재

4️⃣ 존중과 태도: 품질을 바꾸는 힘

  • 반말/명령형: 단편적·검색형 결과
  • 존댓말/페르소나/구체적 프롬프트: 맥락적이고 정교한 답변
  • AI 존중 = 나의 언어 습관과 사고 태도 정돈

💡 Key Insight: AI를 존중하는 태도가 곧 자기 존중, 그리고 조직문화의 품질이다.

5️⃣ “Wait” 전략 – 숙고와 리플렉션

  • AI에게 “잠시만 생각해줘(wait)”라고 하면 내부적으로 자기 검증/수정 과정 발동
  • 즉각 답변보다 맥락적·심층적 결과 도출
  • 인간의 **System 2 사고(숙고적 사고)**와 유사

💡 Key Insight: 좋은 질문만큼이나, 기다림이 답의 질을 바꾼다.

6️⃣ 성과 평가(Co-KPI)와 과정 관리

  • 인간+AI가 함께 성과 낸 경우, 공동 KPI(Co-KPI) 필요
  • 결과뿐 아니라 AI의 과정과 윤리성까지 관리해야 함
  • 좋은 리더십(공감·조율)은 AI에게도 동일하게 적용 = 오케스트레이션

💡 Key Insight: AI와 인간이 함께 성과 내는 방식을 설계하는 것이 리더십의 핵심

7️⃣ 조직 구조 변화 – Great Flattening

  • 중간 관리자 역할 축소 → 단순 전달·정리 업무는 AI가 더 잘함
  • 직무 구분 폐지 → 모든 구성원이 Agent Boss(에이전트 관리자)
  • 개인 경쟁력 = 학력/스펙이 아니라 보유한 에이전트 포트폴리오

💡 Key Insight: 앞으로의 스펙은 ‘내가 가진 에이전트’다.

8️⃣ 세대 격차와 교육

  • 신입사원: 평균 13개 AI 서비스 사용 경험 → 생존형 학습
  • 리더 세대: AI 활용 문해력 낮음 → 조직 내 활용 격차 발생
  • 교육 핵심 = 단순 사용법이 아니라 윤리·협업력

💡 Key Insight: AI 격차 = 세대 격차. 리더의 준비가 가장 중요하다.

9️⃣ 추천 AI 서비스 & 트렌드

  • 구글 AI 스튜디오 (Gemini) → 무료 체험 & 강력한 기능
  • Flow With → 무한 병렬 에이전트
  • Manus → 자율형 에이전트 플랫폼
  • 멀티 에이전트 시뮬레이션 → 시장 조사, 의사결정 테스트 활용

💡 Key Insight: 앞으로의 경쟁력은 ‘에이전트 활용력’

🌟 인사이트!

AI 시대의 경쟁력은 기술이 아니라 태도에서 출발합니다.